전체 글131 [React] Redux 기본 사용법 : createStore, Provider, userSelector, useDispatch 1. createStore로 store 만들기createStore는 Redux에서 전역 상태 저장소(store)를 만드는 함수.사용하려면 먼저 reducer 함수가 있어야 한다.// reducer.jsconst 초기값 = { count: 0 };function counterReducer(state = 초기값, action) { switch (action.type) { case 'INCREMENT' : return { count: state.count + 1 }; case 'DECREMENT' : return { count: state.count - 1 }; default: return state; }}export default counterReducer;/.. FE/React 2025. 7. 17. [React] Redux란? 왜 써야 할까? React로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어느 순간 state 관리가 점점 복잡해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처음에는 간단한 컴포넌트 간 props 전달로도 충분했지만, 컴포넌트가 많아지고 상태가 얽히면서 버그가 생기고,"대체 어디서 상태가 바뀌는지" 알 수 없어지는 순간이 오죠.이럴 때 등장하는 것이 Redux 입니다. Redux란?Redux는 자바스크립트 앱의 상태(state)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React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레임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보통은 React + Redux 조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 Redux를 왜 사용할까?1. props 전송이 귀찮을 때React는 컴포넌트 기반이기 때문에상위 컴포넌트 → 하위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prop.. FE/React 2025. 7. 17. [개발 칼럼] 골드만삭스, AI 엔지니어 ‘데빈’ 실전 투입 – 웹 개발자로서의 생각 최근 Bikorea 기사에 따르면,골드만삭스가 AI 엔지니어 '데빈(Devin)'을 실전 프로젝트에 투입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골드만삭스, AI 엔지니어 ‘데빈’ 실전 투입 - BI KOREA금융IT 골드만삭스, AI 엔지니어 ‘데빈’ 실전 투입대한민국 금융권에 던진 경고장 ◆월가의 실험 = 골드만삭스가 자율형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데빈(Devin)’을 대규모로 도입하면서 금융 ITwww.bikorea.net이건 단순한 실험이나 데모가 아니라,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AI 개발자의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 Devin은 어떤 AI인가?데빈은 단순한 코드 생성기를 넘어서서,요구사항 분석 → 개발 → 테스트 → 배포이 전 과정을 AI 혼자서 처리할 수 있는 자율형 에이전트.. IT 정보공유 2025. 7. 16. 🐳 Docker 설치 오류 해결 – WSL 관련 오류 코드: hcs_e_service_not_available 최근 Docker 환경 기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개발 환경을 세팅하는 과정에서 Docker 설치 후 실행 중 WSL2 관련 오류가 발생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접 겪은 오류메시지와 그 원인,그리고 정상적으로 Docker를 실행하기까지의 해결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다 !!(동일한 문제로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 발생한 오류 메시지Docker Desktop을 설치한 후 실행했을 때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 ..필요한 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오류 코드: wsl/installdistro/service/registerdistro/createvm/hcs/hcs_e_service_not_available이 오류는 대부분의 경우, Wind.. Dev etc/etc 2025. 7. 4. [보안] 🔐 Salt값 + SHA256 암호화 이해하기 사용자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 암호화(Encryption) 혹은 해싱(Hashing) 기법이 사용됩니다.그중에서도 SHA-256은 널리 사용되는 해시 함수이며, 여기에 Salt(솔트) 값을 조합하면 보안 수준을 한층 높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alt + SHA-256 조합의 필요성과 사용법을 설명하고, Python 예제도 함께 제공합니다. SHA-256 이란?SHA-256은 SHA(Secure Hash Algorithm) 계열 중 하나로,256비트(32바이트) 길이의 해시값을 생성합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입력이 같으면 출력(해시값)이 항상 같음출력은 고정 길이(64자 HEX 문자열)역으로 복호화 불가능 (단방향) 📌 예시:import hashlibpassword = ".. Dev etc/etc 2025. 6. 11. MVP란? – 스타트업이 꼭 알아야 할 최소 기능 제품 전략 신규 서비스나 기능을 기획할 때"완벽하게 다 만들고 출시할까?" 아니면 "핵심 기능만 빠르게 만들어서 시장 반응을 볼까?"이 질문에 대한 해답이 바로 MVP(Minimum Viable Product) 입니다. MVP 정의MVP(Minimum Viable Product)는 최소한의 기능만 갖춘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여, 실제 사용자 반응을 통해 개선 방향을 확인하는 전략입니다. 📌 핵심은: “기능은 최소화, 학습은 최대화!” MVP의 목적시장에 빠르게 진입해 피드백 확보시간/비용 낭비 최소화고객이 진짜 원하는 기능 파악투자자에게 빠르게 시연할 수 있는 결과물 확보 💡 실무 예시상황MVP 예시MVP 예시음식 배달 앱 기획사용자 위치 설정 + 메뉴 조회 + 주문 기능만 먼저 출시AI 요약 서비스텍스.. IT 정보공유 2025. 6. 5. PoC란? - 개념 증명, 왜 필요할까 ? 서비스나 기능을 기획하다 보면,"이거 진짜 기술적으로 가능할까?" 라는 의문이 들 때가 있습니다.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게 PoC (Proof of Concept, 개념 증명) 입니다. PoC 정의PoC (Proof of Concept)는아이디어나 기술이 실제로 구현 가능한지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입니다.복잡한 기능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전에,작은 단위로 먼저 테스트해 보는 것을 말하죠. 언제 사용하나요 ?새로운 기술 도입 전에 실현 가능성 확인외부 API, 라이브러리 등이 우리 시스템과 호환되는지 검증비용과 리소스를 줄이기 위한 사전 테스트스타트업에서 아이디어가 구현 가능한지 빠르게 확인 실무 예시상황PoC 활용 사례AI 챗봇을 도입하고 싶은 기업OpenAI API를 연결해 간단한 대화 시나리오를 구.. IT 정보공유 2025. 6. 5. 📌 개발 방법론 종류와 특징 정리 (프로젝트 성격별 추천 포함) 오늘은 개발 방법론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각 방법론의 특징과 어떤 프로젝트에 적합한지도 함께 정리했으니, 팀 프로젝트나 시스템 구축을 앞두고 있다면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1. 폭포수 모델 (Waterfall Model)🔍 특징순차적 진행: 요구사항 → 설계 → 구현 → 테스트 → 배포 순으로 진행계획 중심: 사전에 모든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문서화 철저: 각 단계별 산출물이 명확하게 존재👍 적합한 프로젝트요구사항이 명확하고 변경 가능성이 적은 프로젝트정부 과제, 은행 시스템, ERP 등 보수적이고 안정성이 중요한 프로젝트⚠️ 주의할 점개발 중간에 요구사항이 변경되면 전체 프로세스에 큰 영향고객 피드백이 반영되기 어려움 2. 애자일 방법론 (Agile)🔍 특징반복적 개발(Ite.. Dev etc/etc 2025. 6. 4. [금융] 전자서명법부터 자금세탁방지법까지 |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보안·인증 법률 총정리 보안과 인증 시스템을 개발할 때 기술 스택만 고민하셨다면, 이제는 국내 보안 관련 법률도 함께 챙겨야 할 때입니다.특히 전자서명법, 정보통신망법, 금융 실명법, 자금세탁방지법(AML)은로그인 인증부터 거래 처리, 데이터 저장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개발자가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 보안 법률을 비교 정리하고,각 법이 실제 인증 시스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봅니다. 1. 📜 전자서명법전자적 방식으로 신원을 증명하고 서명을 대체하는 절차를 규정한 법률 핵심 목적전자문서에 법적 효력을 부여공인인증서 중심 체계 → 다양한 전자서명 방식 허용 (2020년 개정)개발자가 알아야 할 포인트공인인증서 폐지 이후 다양한 서명 수단 허용됨 (카카오 인증서, PASS 등도 가능)전자서명인증사.. IT 정보공유 2025. 6. 2. [React] React 입문기 : 왜 React를 써야 할까? 웹개발을 하면서 프론트엔드 개발의 트렌드에 쫓아가야 할 필요를 점점 더 느낀다.금융권에도 React가 많이 사용됨에 따라 React 스킬도 함양할 필요를 더욱이 느낀다 ..!!React도 마스터해보자!!!! +_+ 기존 JavaScript로는 왜 불편할까?기존의 JavaScript만으로도 HTML을 조작하고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하지만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점점 한계를 느끼게 됩니다. ▶ DOM 조작이 복잡하다.직접 document.querySelector, appendChild 등을 써서 DOM을 조작해야 하니 코드가 길어지고, 상태가 바뀔 때마다 어떤 부분을 업데이트할지 신경 써야 합니다. ▶ 상태 관리가 어렵다.UI와 데이터 상태(State)가 분리되어 있어서, 여러 상태가 .. FE/React 2025. 5. 30. [생성형 AI 도구] 커서 AI(Cursor AI)란? 커서 AI(Cursor AI)란?커서 AI는 프로그래머를 위한 AI 기반 코드 에디터로, 마치 ChatGPT와 VS Code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는 툴입니다. 단순한 코드 자동완성을 넘어서, 코드 수정, 리팩토링, 설명, 문서화, 테스트 코드 생성까지 가능해 개발자의 생산성을 극대화합니다. 최근 트렌드: 왜 커서 AI인가?1. 코드 작성 속도 향상자동완성과 프롬프트 기반 코드 생성으로 반복 작업을 줄임.주석 작성만으로 함수 전체를 구현 가능.2. 협업을 위한 문맥 이해GPT를 기반으로 한 커서 AI는 코드 전체의 맥락을 파악해, 단순 제안이 아닌 의도 기반 코드 제시가 가능.3. AI 코드 에디터 시장 성장 중Cursor, Codeium, GitHub Copilot 등이 각축 중.커서 AI는 오픈소스 .. Dev etc/AI 개발도구 2025. 5. 29. [금융] 3가지 대출상환방식 비교 (원리금균등분할상환/원금균등분할상환/만기일시상환) 대출 관련 업무개발을 분석하던 중 헷갈려서 대출 상환 방식에 대해 확실하게 비교하여 정리해둔다 ..! ▶ 원리금균등분할상환 VS 원금균등분할상환 VS 만기일시상환3가지 대출상환방식을 찾아보던 중 아래와 같은 뉴스 기사도 보게 되었다.[ 출처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885392#home ] 똑같이 1억을 빌렸는데``` 이자 1500만원 아끼는 건 '한끗'차이 라는 기사였다.이렇게 자신의 상황에 맞게 대출 상환 방식을 신중히 선택해야 함을 더욱 명확히 깨달았다. 원리금균등분할상환이란?: 원리금(대출 원금 + 이자)을 만기일까지 1/n 하여 균등하게 나누어 갚는 방식: 상환금액이 매월 동일하여 계획적인 자금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하지만 목돈이 생.. IT 정보공유 2024. 6. 26. 이전 1 2 3 4 ··· 1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