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신규 서비스나 기능을 기획할 때
"완벽하게 다 만들고 출시할까?" 아니면 "핵심 기능만 빠르게 만들어서 시장 반응을 볼까?"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이 바로 MVP(Minimum Viable Product) 입니다.
MVP 정의
MVP(Minimum Viable Product)는
최소한의 기능만 갖춘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여, 실제 사용자 반응을 통해 개선 방향을 확인하는 전략입니다.
📌 핵심은:
“기능은 최소화, 학습은 최대화!”
MVP의 목적
- 시장에 빠르게 진입해 피드백 확보
- 시간/비용 낭비 최소화
- 고객이 진짜 원하는 기능 파악
- 투자자에게 빠르게 시연할 수 있는 결과물 확보
💡 실무 예시
상황MVP 예시 | MVP 예시 |
음식 배달 앱 기획 | 사용자 위치 설정 + 메뉴 조회 + 주문 기능만 먼저 출시 |
AI 요약 서비스 | 텍스트 입력 → 요약 결과 반환 기능만 제공 |
SNS 플랫폼 | 회원가입 + 글쓰기 + 좋아요 기능만 구현 후 오픈 |
MVP vs PoC 차이점
구분 | MVP | PoC |
목적 | 시장 검증, 피드백 수집 | 기술적 가능성 검증 |
대상 | 실제 사용자 | 내부 개발팀 |
완성도 | 최소한의 상용 수준 | 기술 실험 수준 |
확장성 | 피드백 기반으로 점진적 확장 | 성공 시 MVP로 확장 가능 |
언제 MVP 전략을 써야 할까?
- 스타트업이나 사이드 프로젝트 초기
- 시장 반응을 모른 채 무작정 개발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때
- 고객의 진짜 Pain Point를 확인하고 싶을 때
- 투자 유치나 발표를 위한 빠른 데모가 필요할 때
MVP 성공을 위한 핵심 포인트
✅ 꼭 필요한 기능만 넣기 (욕심내지 않기)
✅ 빠르게 출시하고 실제 사용자에게 노출
✅ 피드백을 기반으로 점진적 개선
✅ 정답은 없다. 사용자 반응이 모든 것!
📚 관련글 추천
PoC란? - 개념 증명, 왜 필요할까 ?
서비스나 기능을 기획하다 보면,"이거 진짜 기술적으로 가능할까?" 라는 의문이 들 때가 있습니다.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게 PoC (Proof of Concept, 개념 증명) 입니다. PoC 정의PoC (Proof of Concept)는아이디
kongda.tistory.com
📌 개발 방법론 종류와 특징 정리 (프로젝트 성격별 추천 포함)
오늘은 개발 방법론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각 방법론의 특징과 어떤 프로젝트에 적합한지도 함께 정리했으니, 팀 프로젝트나 시스템 구축을 앞두고 있다면 참고하셔도 좋을 것
kongda.tistory.com
728x90
반응형
'IT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칼럼] 골드만삭스, AI 엔지니어 ‘데빈’ 실전 투입 – 웹 개발자로서의 생각 (3) | 2025.07.16 |
---|---|
PoC란? - 개념 증명, 왜 필요할까 ? (1) | 2025.06.05 |
[금융] 전자서명법부터 자금세탁방지법까지 |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보안·인증 법률 총정리 (1) | 2025.06.02 |
[금융] 3가지 대출상환방식 비교 (원리금균등분할상환/원금균등분할상환/만기일시상환) (0) | 2024.06.26 |
[금융IT] 오픈뱅킹 - 사용자 인증 (+ OAuth란?) (0) | 2024.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