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etc17 [Docker] 도커(docker) 서비스 환경 ▷ 도커 서비스 환경 - docker-compose라는 여러 docker 컨테이너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cli 프로그램으로써 docker를 설치하면 번들로써 제공함. - 컨테이너 기반을 이용하여 단순한 저장공간 컨테이너(볼륨)를 만들어 저장공간을 container끼리 연결할 수 있으며, 실행한 호스트의 저장공간에도 접근 가능함. - Docker는 게스트 OS를 설치하지 않음. ( 단지 이미지에 서버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만 격리해서 설치하기 때문에 이미지 용량이 크게 줄어듦 ) - Docker의 컨테이너는 OS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호스트와 OS자원을 직접 사용함. ( Docker는 하드웨어 가상화 계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접근, 파일접근 등 관련한 기능에서 직접 접근하기 때문에 가.. Dev etc/etc 2023. 6. 16. [Server] API와 SPI의 차이점 API와 SPI의 차이를 비교분석해보자. 분석까지는 아니고 그냥 비교… bb API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API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기능에 액세스하는 수단. SPI는 SPI(Service Provider Interface)의 약자로, SPI는 소프트웨어 또는 플랫폼의 동작을 주입, 확장 또는 변경하는 방법. API는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대상이며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는다. - API는 특정 동작이나 출력을 얻기 위해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프로그래밍 방식. - API 진화의 관점에서 볼때 추가사항은 클라이언트에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 하지만 API는 한번 클라이언트에 의해 활용되었지만 적.. Dev etc/etc 2022. 11. 19. [Web] HTTP 상태 코드 종류 / 정리 HTTP 상태(응답) 코드 종류 정리. 웹 개발을 하다보면 "404 Not Found"를 접해본적인 무조건 있을것이다..!!! 404외에도 다양한 상태코드가 있는데 HTTP 상태코드를 한 번 정리해두려한당 ( 자주 마주하게 되는것들은 정해져 있지만,, :b ) HTTP 상태 코드는 세자리 수로 이루어져 있다. 맨앞자리 수는 1~5까지로 시작되는데 시작되는 수마다 성향이 조금 다르니 알아두자 사이트 관리자, 웹 개발자라면 에러의 성향은 기본적으로 알아 볼 수 있어야 되니 ,,, 특히 , 4나 5로 시작되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 아닌거라서 유심히 봐야될 필요가 있당 !! 1xx :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하는 상태. 2xx :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수용한 상태. 3xx :.. Dev etc/etc 2021. 2. 5. [etc] Web에서 Popup() vs Modal() 비교. 팝업창과 모달창 팝업창과 모달창. 모달창과 팝업창. 언제 팝업창을 쓰고 언제 모달창을 쓸까 ? 웹에서는 어떠한 상황에만 보여지는 공간이 존재한다. 이 때 사용하는 것이 팝업창과 모달창이다. 근데 둘의 차이점을 확실히 알고 싶어 정리해본다 ! ◎ Popup vs Modal _ Common : 특정 영역의 위치에 원하는 사이즈의 별도 레이어를 만들어 방문자에게 원하는 시점에 보여준다. ◎ Popup vs Modal _ difference : 팝업창의 경우 웹시작과 동시에 실행이 되는 경우가 많고, 모달창은 중간중간에 띄우는 경우에 사용된다. : 사용 의도에 관점을 두고 더 쉽게 정리해보자면 팝업창은 진행상황과 관련없이 뜨는 창이고, 모달창은 다음 진행으로 넘어가기위한 필요에 의해 사용하는 창. 추가적으로 꼭 알아야 될 점은.. Dev etc/etc 2020. 8. 19. [cmd] netstat 명령어 - server 충돌났을 때 강제종료시키는 방법 사용할 port가 이미 실행이 되고 있어서 port 중복 실행 오류이다. port를 죽여주자 !!!!!! cmd 명령어를 사용해 해결해보자 ! cmd 창을 열어서 사용하고자 했는데 중복실행이여서 오류가 나는 port 번호를 검색해보자 ! netstat -ano | findstr [중복port번호] 중복 실행 확인 후, 중복 실행 port를 죽여준다 !!!! taskkill /f /pid [pid 번호] 이 과정을 거치고 다시 실행을 하면 server가 잘 작동할 것이당 !!! :) 색깔로 칠해놓은 것이 같은 번호이니 유의해서 헷갈리지 말고 명령어 완성할 것 ! 요즘 서버개발을 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cmd명령어인데도 자꾸 정리노트를 찾아봐서 다시금 정리해본다 ! 이제 덜 까묵겟지 ,,,,, ㅎㅎㅎ Dev etc/window 2020. 8. 19.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