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상태(응답) 코드 종류 정리.
웹 개발을 하다보면 "404 Not Found"를 접해본적인 무조건 있을것이다..!!!
404외에도 다양한 상태코드가 있는데 HTTP 상태코드를 한 번 정리해두려한당
( 자주 마주하게 되는것들은 정해져 있지만,, :b )
HTTP 상태 코드는 세자리 수로 이루어져 있다. 맨앞자리 수는 1~5까지로 시작되는데 시작되는 수마다 성향이 조금 다르니 알아두자
사이트 관리자, 웹 개발자라면 에러의 성향은 기본적으로 알아 볼 수 있어야 되니 ,,,
특히 , 4나 5로 시작되는 것은 정상적인 상황이 아닌거라서 유심히 봐야될 필요가 있당 !!
1xx :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하는 상태.
2xx :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수용한 상태.
3xx : [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이 필요한 상태.
4xx : [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상태.
5xx : [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을 실패한 상태.
[ HTTP 상태코드 정리 ]
100 : Continue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부 요청을 받았으며 나머지 정보를 계속 요청.)
101 : Switching protocols
200 :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됨)
201 : Created (PUT 메소드에 의해 원격지 서버에 파일 생성됨)
202 : Accepted (웹 서버가 명령 수신함)
203 : Non-autoritative infomation (서버가 클라이언트 요구 중 일부만 전송)
204 : No content (사용자 요구 처리하였으나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
301 : Moved permanently (요구한 데이터를 변경된 타 URL에 요청함)
302 : Not temporarily
304 : Not modified (컴퓨터 로컬의 캐시 정보를 이용함)
400 : Bad request (사용자의 잘못된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401 :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한 페이지를 요청한 경우)
402 : Payment required (예약됨)
403 : Forbidden (접근 금지, 디렉터리 리스팅 요청 및 관리자 페이지 접근 등을 차단)
404 : Not found (요청한 페이지 없음)
405 : Method not allowed (허용되지 않는 http method 사용함)
407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프락시 인증 요구됨)
408 : Request timeout (요청 시간 초과)
410 : Gone (영구적으로 사용 금지)
412 : Precondition failed (전체 조건 실패)
414 : Request-URI too long (요청 URL 길이가 긴 경우임)
500 : Internal server error (내부 서버 오류)
501 : Not implemented (웹 서버가 처리할 수 없음)
503 : Service unnailable (서비스 제공 불가)
504 : Gateway timeout (게이트웨이 시간 초과)
505 : HTTP version not supported (해당 http 버전 지원되지 않음)
이렇게 정리해봐도 해결방법이 바로 다 떠오르진 않지만,,
오류가 발생했을 때 적어도 HTTP 상태코드를 파악해서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오류를 해결해나가길 바라는 마음으로,, :))
'Dev etc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도커 컴포즈(Docker Compose)란 ? (0) | 2023.06.23 |
---|---|
[Docker] 도커 이미지(Image)와 컨테이너 (0) | 2023.06.19 |
[Docker] 도커(docker) 서비스 환경 (0) | 2023.06.16 |
[Server] API와 SPI의 차이점 (0) | 2022.11.19 |
[etc] Web에서 Popup() vs Modal() 비교. 팝업창과 모달창 (0) | 2020.08.19 |
댓글